728x90
반응형
SMALL

재무제표 주석 공시 요령 완벽 가이드: 누락 없이 명확하게 쓰는 법

회계감사에서 자주 지적받는 공통 항목? 바로 '주석 미흡'입니다. 어떤 내용을 어떻게 써야 할지 헷갈리셨다면, 이 글 하나로 정리해보세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회계 담당자분들이 실무에서 가장 헷갈려 하면서도 회계감사에서 가장 많이 지적받는 항목 중 하나인 재무제표 주석 공시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재무제표 자체도 중요하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주석은 기업의 회계정책, 위험, 주요 판단 등을 설명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요. 특히 K-IFRS나 일반기업회계기준에서는 특정 항목에 대해 반드시 공시해야 하는 의무사항들이 있기 때문에, 이를 누락하면 감사인의 한정 의견까지도 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 이 포스팅에서는 주석 작성 시 어떤 내용을 담아야 하고, 어떤 형식으로 공시하면 좋은지, 실무 팁과 함께 정리해드릴게요!

재무제표 주석의 목적과 역할

주석은 단순히 재무제표 수치에 대한 ‘보충 설명’이 아닙니다. 기업의 회계정책, 판단 기준, 위험 정보, 미래 전망 등을 외부 이해관계자에게 설명하는 ‘정보 공개의 핵심 도구’입니다. 특히 투자자, 감사인, 세무당국은 주석을 통해 숫자 이면의 배경을 파악하게 되죠. 명확하고 충분한 주석은 회계 투명성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불완전하거나 누락된 주석은 회계 감사의 의견 제한 또는 경영진 신뢰 저하로 이어질 수 있어요.

주석 공시 필수 항목

주석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항목들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특히 K-IFRS 적용 기업은 공시 요구사항이 더욱 엄격하므로 정확한 항목별 확인이 필요해요.

주석 항목 설명
회계정책 요약 수익인식, 재고평가, 감가상각 등 주요 회계처리 기준
중요 판단 및 추정 충당부채, 대손충당금, 이연법인세 등 추정치 기반 항목
연결기업 범위 및 관계기업 자회사, 관계사, 공동기업 등 포함 여부와 기준
금융상품 및 리스크 환위험, 금리위험, 유동성위험 등
주석세부 내역 재무제표 계정별 상세 내역 및 분해 정보

실무자들이 자주 빠뜨리는 공시 실수

실제 실무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석 누락 또는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아래 리스트를 꼭 참고하세요!

  • 계정별 합계는 있으나 구성항목 설명 누락
  • 신규 IFRS 기준 적용 여부 미기재
  • 관계기업 주석에 투자지분율 또는 지분법손익 누락
  • 중요 회계추정 변경 공시 생략
  • 단순 반복 복사로 실질 정보 부재

명확하고 깔끔한 주석 작성 포맷

주석은 단지 나열이 아닌, 이해하기 쉬운 흐름과 구조로 작성되어야 합니다. 아래는 추천하는 주석 작성 구조입니다.

구성 항목 내용 예시
1. 항목명 예: '재고자산'
2. 회계정책 평가방법: 후입선출법 / 감모손실 반영 여부 등
3. 수치 내역 2024년말 재고: 원재료 1억, 제품 2억, 합계 3억
4. 판단/추정사항 시장가치 하락 가능성 고려해 평가손실 반영

업종별 주석 작성 유의사항

업종에 따라 중요하게 다뤄야 할 주석 항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특히 아래 업종은 다음 항목에 주의하세요.

  • 제조업: 재고자산 상세 내역, 제조원가 구성, 감가상각 기준
  • 금융업: 대출채권, 충당금, 금융위험관리 공시
  • IT/스타트업: 무형자산, 개발비 처리, 주식보상비용 주석
  • 건설업: 공사계약 관련 매출인식기준, 선수금과 미청구공사 구분

주석 공시 최종 점검 체크리스트

작성 후 아래 항목을 마지막으로 반드시 점검해보세요. 누락된 주석 하나로 감사 한정 의견이 나올 수도 있으니까요!

  1. 모든 재무제표 계정에 대한 주석이 존재하는가?
  2. 회계정책이 일관되게 설명되어 있는가?
  3. 올해와 전년도 수치 비교가 가능한가?
  4. 감사인과의 협의사항이 충실히 반영되었는가?
  5. 공시의무 항목이 누락되지 않았는가?

 

Q 주석 공시는 법적으로 꼭 해야 하나요?

네. 재무제표는 숫자와 설명이 결합된 문서로, 주석은 필수 구성 요소입니다. 미공시 시 감사의견 한정 또는 부적정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Q IFRS와 일반기업회계기준 주석 공시 차이가 큰가요?

IFRS는 공시 범위가 훨씬 넓고 상세합니다. 예를 들어 위험관리, 시장가치, 공정가치 공시 등이 일반기준보다 더 많이 요구됩니다.

Q 주석 내용이 너무 많아도 문제가 되나요?

불필요한 반복과 과도한 분량은 독자의 이해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충분하되 간결하게'가 주석 작성의 핵심입니다.

Q 예전 주석 파일 복사해서 써도 되나요?

기본 틀은 사용할 수 있지만, 각 연도별 수치, 회계정책 변화, 기준 변경 등을 반드시 반영해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Q 주석은 감사인이 대신 써주지 않나요?

주석은 회사가 책임지고 작성하는 것이며, 감사인은 그 내용을 검토하고 적정성 여부를 판단할 뿐입니다.

Q 주석이 누락되면 어떤 불이익이 있나요?

감사보고서에서 '한정' 또는 '부적정' 의견이 나올 수 있고, 상장사의 경우 공시 위반으로 과징금이나 불성실 공시 지정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SMALL

♣ 하기 기재된 글의 경우 개인적인 의견이 포함되어 있음에 따라 사실과 다르거나, 오류가 있을수 있습니다.  오류가 존재하거나 하기 내용상 기술이 잘못된 경우, 이메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원회계사입니다

 

오늘은 헷갈리는 리스회계처리에 대한 주석작성을 알아볼까 합니다.

 

상장사 공시를 담당하시는 분이라면 리스와 관련한 주석을 어렵지 않게 작성하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는데요. 반면 리스 주석을 처음 작성하시는 분들의 경우 주석작성이 헷갈리고 아리송한 포인트가 여기저기 숨어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리스에 대한 회계처리 및 공시를 위한 리스 주석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A라는 회사가 B사로부터 건물을 임차하는 경우, 매월 리스료 지급액은 120,000,000원이며, 증분차입이자율은 5%, 리스기간은 9년으로 가정하는 경우 A회사의 K-IFRS에 따른 리스회계처리를 알아보도록 할께요.

 

위와 같이 가정한 경우 리스개시일의 A사가 인식해야하는 리스부채는 852,938,601원이며, 각 연도말 리스부채에 대한 상각스케쥴은 다음과 같이 표로 나타낼수 있습니다.

연도 기초리스부채 현할차상각액 리스료지급액 기말리스부채 비고
리스개시일 852,938,601     852,938,601  
FY2023 852,938,601 42,646,930 120,000,000 775,585,531  
FY2024 775,585,531 38,779,277 120,000,000 694,364,808  
FY2025 694,364,808 34,718,240 120,000,000 609,083,048  
FY2026 609,083,048 30,454,152 120,000,000 519,537,200  
FY2027 519,537,200 25,976,860 120,000,000 425,514,060  
FY2028 425,514,060 21,275,703 120,000,000 326,789,764  
FY2029 326,789,764 16,339,488 120,000,000 223,129,252  
FY2030 223,129,252 11,156,463 120,000,000 114,285,714  
FY2031 114,285,714 5,714,286 120,000,000 (-)  
합계 227,061,399 1,080,000,000    

 

상기 상각스케쥴을 기준으로 한 리스개시일과 연도말(FY2023)의 회계처리를 표현하면 아래와 같이 회계처리로 나타낼수 있습니다. 다만, 연도말 회계처리의 경우 아래와 같이 3가지로 나눠서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아래 3가지 회계처리는 실질적으로 모두 동일한지만 그 계정과목을 표시하는 방법에서만 차이가 있습니다

리스개시일
사용권자산 852,938,601 리스부채 852,938,601
‘23
연도말
표시1 이자비용 42,646,930 현금 120,000,000
리스부채 77,353,070    
       
표시2 이자비용 42,646,930 리스부채 42,646,930
리스부채 120,000,000 현금 120,000,000
       
표시3 이자비용 42,646,930 리스부채 42,646,930
리스부채 42,646,930 현금 42,646,930
리스부채 77,353,070 현금 77,353,070

 

 

상기 연도말 회계처리 중 표시2와 표시3은 중요합니다.

 

순액으로 처리하면 표시2와 표시3이 동일한데 도대체 뭔 차이가 있냐 하실수도 있겠지만, 현재 실무에서 사용하는 현금흐름표의 표시방식과 리스 주석 표시 방식을 보시면 위의 두가지 회계처리를 모두 알고 있어야 보다 작성하기 쉽다는걸 이해하실꺼라고 생각합니다.

 

우선 표시2의 경우 "현금흐름표"의 재무활동 작성을 위한 회계처리이며, 표시3의 경우 "주석" 작성을 위한 회계처리입니다.

그렇다면 상기 표시1-3별로 현금흐름표의 표시가 어떻게 이뤄지는 지 한번 볼까요?

구분 표시1 표시2 표시3 비고
영업활동현금흐름 (42,646,930) - (42,646,930)  
당기순이익 (42,646,930) (42,646,930) (42,646,930)  
이자비용 가산액 42,646,930 42,646,930 42,646,930  
자산부채 증감 - - -  
이자지급액 (42,646,930) - (42,646,930)  
재무활동현금흐름 (77,353,070) (120,000,000) (77,353,070)  
  리스원금상환액 (77,353,070) (120,000,000) (77,353,070)  
순현금흐름 (120,000,000) (120,000,000) (120,000,000)  

 

상기 표시별 현금흐름표를 보면 모두 순현금흐름은 1.2억원으로 동일한데 반해, 영업활동과 재무활동으로 분류되는 금액이 다른걸 알수 있습니다. 상기 3가지 표시방식 중 현금흐름표 작성시는 일반적으로/실무적으로는 표시3에 따른 방식을 적용하여 현금흐름표를 작성합니다.

 

그렇다면 리스 주석도 한번 살펴볼까요? 아래 주석은 리스주석 중 리스부채의 증감내역을 나타낸 표입니다.

구분 기초 당기취득 이자비용 원금상환 기말부채
리스부채 852,938,601 - 42,646,930 (120,000,000) 775,585,531

 

위에 작성된 리스 주석을 살펴보면 리스부채의 증감내역을 표시하면서 이자비용과 원금상환액을 별도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이때, 이자비용은 현할차 상각액을 원금상환액은 리스료 지급액 총액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표시2에 따른 회계처리를 적용하는 것이 보다 직관적으로 주석을 작성하는데 용이하다는 것을 느끼실수 있으실까요?

 

이렇듯, 리스에 대한 현금흐름표와 주석을 작성하기 위해선 리스 회계처리를 표현하는 방식을 두가지는 알고 있으셔야 합니다. 이상으로 리스에 대한 현금흐름표 및 주석작성에 대한 실무에 대해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