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경제 동향 : 성장률 전망부터 트럼프 관세까지
2025년 6월, 한국 경제는 중대한 변곡점에 서 있습니다. KDI와 한국은행은 2025년 경제성장률을 0.8%로 전망하며, 건설업 부진과 통상 여건 악화가 주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동시에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본격화되면서 한국에 대해 26%의 상호관세를 부과 하는 등 대외 불확실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K뷰티는 미국 시장에서 색조화장품 수입 1위를 달성하며 새로운 성장 동력 으로 부상하고 있어 희망적인 신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현재 한국 경제를 둘러싼 주요 이슈들을 종합 분석하고, 투자자와 기업이 알아야 할 핵심 정보를 제공합니다.
1. 2025년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과 과제
KDI와 한국은행의 성장률 전망
2025년 한국 경제는 건설업 부진과 통상 여건 악화로 0.8% 성장하는 데 그칠 전망입니다. 이는 한국금융연구원의 전망치 2.0%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 으로, 경제 성장의 어려움을 시사합니다.
- 2025년 성장률: 0.8% (KDI 전망)
- 2026년 성장률: 1.6% (완만한 회복 예상)
- 잠재성장률: 1%대 후반으로 추정
- 장기 전망: 2040년대에는 0% 내외까지 하락 우려
성장률 둔화의 주요 원인
분야 | 현황 | 전망 |
---|---|---|
민간소비 | 1.1% 내외 증가 | 정국 불안 완화 시 2026년 1.6% 회복 |
설비투자 | 1.7% 증가 | 반도체 투자 수요로 2026년 1.6% 유지 |
건설투자 | -4.2% 감소 | 2026년 2.4% 증가로 부진 완화 |
인구구조 변화로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은 향후에도 하락세를 지속하며, 2040년대에는 0% 내외까지 하락할 전망 입니다. 이는 구조적 경제 개혁의 필요성을 시사합니다.
2. 트럼프 관세 정책의 영향과 대응 전략
트럼프 2기 관세 정책 개요
2025년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해방의 날'을 선언하며 상호관세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한국에 대해서는 기본 10% + 개별 16% = 총 26%의 관세가 부과 되었습니다.
중국산 제품에 대한 10% 관세 부과 시작, 3월 4일부터 20%로 인상
4월 5일부터 전세계 모든 국가에 10% 기본관세, 4월 9일부터 57개국에 개별 관세율 적용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25%에서 50%로 인상, 6월 4일부터 발효
주요국별 관세율 현황
국가 | 미국이 주장하는 장벽 | 부과 관세율 |
---|---|---|
중국 | 67% | 34% |
한국 | 약 50% | 26% |
일본 | 약 50% | 24% |
EU | 39% | 20% |
베트남 | 90% | 46% |
한국관세학회는 트럼프 2기 관세정책에 대응하여 원산지 판정 재량권 강화로 인한 추징 리스크 증가를 경고 했습니다. 특히 철강, 자동차, 반도체 등 전략 산업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에 대비해야 합니다.
관세 정책의 법적 쟁점
최근 미국 연방국제통상법원이 트럼프 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조치를 'IEEPA 권한 남용'으로 판시하고 효력을 취소 한 상황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는 향후 미국의 무역 압박 수단에 제동을 걸 수 있어 한국의 협상력 제고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3. K뷰티 미국 시장 확장과 성장 전망
미국 시장에서의 K뷰티 성과
미국은 K뷰티의 최대 수출시장으로 자리매김했으며, 특히 색조화장품 시장에서 한국이 수입분 중 20% 이상을 차지하며 수입국 1위를 달성 했습니다.
- 색조화장품: 미국 수입국 1위 (20% 이상 점유율)
- 2024년 수출: 3분기 누적 74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19.3% 증가)
- 타깃 매장: 1,600개 매장에서 K뷰티 전용 판매대 운영, 연말까지 2,000개로 확대 예정
- 주요 브랜드: 스킨 천사, 라운드랩 등
성장 동력과 트렌드
최근 산업의 화두는 중국 외 시장의 발달, 온라인 판매 활성화, MZ세대의 부상과 인구 고령화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입니다.
시장 | 성장률 | 주요 특징 |
---|---|---|
미국 | 두 자릿수 성장 | 오프라인 진출 확대, 타깃 매장 입점 |
일본 | 두 자릿수 성장 | 2022년 수입국 1위 달성 |
EU | 두 자릿수 성장 | 프리미엄 브랜드 중심 성장 |
중국 | 역성장 | 로컬 브랜드 확대로 시장 축소 |
규제 환경과 대응 방안
미국 화장품 수출을 위해서는 새롭게 시행된 MoCRA(화장품규제현대화법)에 대한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시설 및 제품 등록은 7월 1일부로 의무화 되었습니다.
- 시설 및 제품 등록 의무화 (매 2년마다 갱신)
- 제품 안전성 입증 및 라벨링 규제
- GMP(제조 및 품질관리) 규정 준수
- 색조 화장품 색소 첨가제 FDA 사전 허가 확인
향후 성장 전망
글로벌 K뷰티 시장 규모는 2027년 139억달러(약 18조5630억원) 규모에 달할 전망이며, 2025년 100억 달러, 2032년에는 200억 달러를 초과하는 성장 이 예상됩니다.
4. 국내 금융시장 동향과 투자 포인트
주식시장 현황
최근 코스피 지수는 0.05% 상승하고 코스닥 지수는 0.81% 상승하여 각각 2,698과 740을 기록했습니다. 대선 이후 일반적으로 코스피 지수가 3% 상승한 사례가 있었지만, 이러한 흐름은 경제 여건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섹터별 투자 포인트
대선 전 기대감으로 상승했으나, 최근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오며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KB 금융과 신한 지주가 크게 하락했습니다.
5월 화장품 수출액이 지난해 대비 9.3% 증가하는 성과를 보이며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K뷰티 성장과 함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섹터입니다.
롯데 지주, SNT 다이네믹스, 대웅 등이 30% 이상의 자사주 비중을 보이고 있어, 상법 개정에 따른 주가 저평가 해소 기대가 높습니다.
금리 정책과 부동산 시장
한국은행 기준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일부 은행에서 대출 금리를 인상하고 있으며, 이는 DSR 규제 강화를 앞두고 진행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금리 정책 변화와 규제 강화로 인한 시장 변동성이 클 수 있으므로, 포트폴리오 분산과 리스크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금 ETF 시장 동향
현재 금 ETF 시장에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올해에만 여러 신상품이 출시될 예정입니다. 에이스 KRX 금현물 ETF는 연금 계좌에서도 투자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력적입니다.
금값이 연초 대비 상승했지만, 증권가에서는 여전히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고 보고 있어 적가 매수 기회를 고려해볼 만합니다.
5. 글로벌 경제 트렌드와 시사점
유럽 중앙은행 정책 동향
유럽 중앙은행의 목표치인 2%를 넘어서는 인플레이션 수치가 8개월 만에 나오며 기준 금리 결정을 앞두고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테슬라 vs BYD: 전기차 시장 경쟁
중국 BYD가 2023년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 1위에 올라 점유율을 공격적으로 높이고 있습니다. BYD는 5월 전기차 인도량이 20만4,000대를 넘어서며 1년 전보다 40% 증가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구분 | 테슬라 | BYD |
---|---|---|
시가총액 | 약 100조원 | 210조원 |
5월 인도량 | - | 20만4,000대 (전년 대비 40% 증가) |
목표 주가 | 410달러 | 540홍콩달러 |
주요 전략 | 로봇 택시 사업 | 유럽 시장 확대 |
일론 머스크의 정치적 발언
일론 머스크는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 법안을 "너무 커서 아름다운" 법안으로 비판하며, 이 법안이 미국 예산 적자를 2조 5천억 달러로 급증시킬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서클의 IPO 확대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는 서클은 IPO 규모를 3,200만 주로 늘리고, 주당 공모가를 27에서 28달러로 조정하여 조달 금액이 40% 이상 증가할 예정입니다. 서클은 IPO를 통해 최대 72억 달러의 기업 가치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주요 원인은 건설업 부진(-4.2%)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통상 여건 악화입니다. 또한 민간소비 증가율이 1.1% 내외로 저조하고, 인구구조 변화로 인한 잠재성장률 하락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2025년 4월 5일부터 기본관세 10%가 적용되고, 4월 9일부터 개별 관세 16%가 추가되어 총 26%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습니다. 또한 6월 4일부터는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관세가 50%로 인상되었습니다.
주요 성공 요인은 혁신적인 성분과 원료, 편리한 패키지 디자인, 합리적인 가격대입니다. 특히 타깃과 같은 대형 유통업체의 오프라인 진출과 MZ세대의 K-콘텐츠에 대한 관심 증가가 큰 역할을 했습니다.
화장품·미용기기 업종이 5월 수출 증가율 9.3%를 기록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자사주 비중이 높은 기업들과 금 ETF도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다만, 포트폴리오 분산과 리스크 관리는 필수입니다.
KDI는 2026년 1.6% 성장을 전망하고 있어 완만한 회복이 예상됩니다. 정국 불안 완화, 금리 인하 효과, 건설수주 개선 등이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통상분쟁 여파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론 및 투자 전략
2025년 6월 현재, 한국 경제는 0.8%라는 저성장 전망과 트럼프 행정부의 26% 관세 부과라는 이중고에 직면해 있습니다. 하지만 위기 속에서도 K뷰티의 미국 시장 성공은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화장품·미용기기 업종의 성장 잠재력에 주목하는 한편, 자사주 비중이 높은 기업들과 금 ETF를 통한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통상정책 변화에 따른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리스크 관리와 장기적 관점에서의 투자 접근이 필요합니다.
- 성장 섹터: K뷰티, 화장품·미용기기 업종 주목
- 방어 전략: 금 ETF, 자사주 보유 기업 고려
- 리스크 요인: 트럼프 관세 정책, 건설업 부진
- 장기 전망: 2026년 1.6% 회복 기대
마지막으로, 경제 전문가로서 강조하고 싶은 것은 급변하는 경제 환경에서 정확한 정보 습득과 전문가 상담의 중요성입니다. 투자 결정 시에는 반드시 개인의 투자 성향과 재무 상황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하시기 바랍니다.
경제 동향과 투자 전략에 대해 더 알고 싶거나 다른 전문가들과 의견을 나누고 싶으신가요? 아래 버튼을 눌러 저희 오픈 카톡방에 참여해보세요!
오픈 카톡방 입장하기 👋이 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궁금한 점이나 더 알고 싶은 경제 동향이 있으시면 아래 댓글로 남겨주세요. 회계사의 전문적인 관점에서 성실히 답변드리겠습니다!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국채 사태 완벽 분석: 원인부터 글로벌 파급효과까지 (7) | 2025.06.04 |
---|---|
2025년 최신판 트럼프 관세 정책: IEEPA에서 무역법으로 전환하는 이유 (5) | 2025.06.04 |
모닝 경제뉴스(20250602) (1) | 2025.06.02 |
모닝 경제뉴스(20250602) (5) | 2025.06.02 |
모닝 경제뉴스(20250530) (6) | 2025.05.30 |